조직이 기본적으로 지향하는 기본적 가치를 표방
조직의 내부 구성원이 기본적으로 지행해야할 가치를 담은 윤리지침
윤리강령을 보다 구체화한 것으로서 특정 행위에 대한 표준화되고 구체화된 기준과 절차를 정한 것
현재 한국 사회복지사들이 활용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윤리강령은 2001년에 개정된 것으로 전문과 윤리기준 6장, 전체 46개 조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윤리강령은 사회복지전문가들이 지켜야 할 전문적 행동기준과 원칙을 기술해놓은 것으로 법적 제재의 힘은 없지만 전문가 단체가 합의해서 만든 것이기 때문에 도의적, 사회윤리적 제재의 힘을 갖는다. 즉, 사회복지전문가들로 하여금 전문직 자격 기준에 맞게 실천할 수 있도록 판단기준을 제시하고 비윤리적 행위에 대해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Reamer(1995)는 윤리강령의 기능을 매일의 실천현장에서 부딪히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일반적인 원칙과 지침을 제공하여 외부 규제로부터 전문직을 보호하고 전문직 사명에 관련된 규범적 기준을 제공하며, 비윤리적 행위를 처벌하는데 도움이 되고 표준이 되는 규범적 기준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기관이 윤리적 경영을 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 역시 윤리강령에 기초하여 내려질 수 있다.
윤리강령은